default_top_notch
default_setNet1_2

나비춤,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 제 15호 인천수륙재 보유자 일초 스님(박치훈)

기사승인 2018.07.12  11:37:27

공유
default_news_ad1

나비춤,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0-나호 범패.나비춤 보유자 일초 스님(박치훈)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 제 15호 인천수륙재 보유자 일초 스님(박치훈)

               약사사 대웅보전 2007

인천수륙재란

물과 육지에서 헤매는 외로운 영혼과 아귀를 달래며 위로하기 위하여 불법을 강설하고 음식을 베푸는 불교의식으로 수륙무차평등재의(水陸無遮平等齎儀), 국행수륙대재(國行水陸大齋), 수륙회(水陸會), 비재회(悲齋會), 시왕재(十王齋), 신중재(神衆齋), 재석재(宰釋齋)라고도 한다. 수륙재의 시원은 중국 양(梁)나라의 무제(武帝)가 불심이 두터워 유주무주(有住無住)의 고혼(孤魂)들을 널리 구제함이 제일가는 공덕이라 생각하고 스님들과 상의한 후 스스로 의식문(儀式文)을 만들었다. 그 의식문에 따라 서기 505년에 금산사(金山寺)에서 재를 베푼 것이 그 시초이다.

우리나라에서 수륙재가 설행된 것은 고려 때부터이다. 광종 때에 때때로 성대히 열린 바 있었는데 970년(광종21)에 갈양사(葛陽寺)에서 개설된 수륙도량이 그 최초의 예이다.

조선시대에는 비록 억불정책에 의하여 불교의식이 유교의식으로 많이 바뀌어졌음에도 불구하고 태조(太祖)는 진관사(津寬寺)를 국행수륙재(國行水陸齋)를 여는 사사(寺社)로 지정하여 크게 재의를 행하였다. 뿐만 아니라 1395년 (태조 4)에는 견암사(見巖寺)와 석왕사(釋王寺)등에서 고려 왕씨의 영혼을 달래는 수륙재를 베풀었다.

그 후 전국각지에서 지역의 특성과 생활방식(生活方式)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거행해 왔다. 예를 들어 영남(嶺南)과 호남(湖南)의 불교의식이 서울 경기지역의 의식과 많은 차이가 있듯이 “수륙재”도 그 지역의 사람들의 생활방식(生活方式)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행하여 왔던 것이다.

최용백 100yong100@hanmail.net

<저작권자 © 한국사진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4
default_side_ad1

인기기사

default_side_ad2

포토

1 2 3
set_P1
default_side_ad3

섹션별 인기기사 및 최근기사

default_setNet2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